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 국내 개인 자금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 적금을 깨고 신용대출을 늘려 미국 주식과 가상자산을 사는 흐름이 포착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숫자로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5대 은행의 요구불예금 잔액은 총 587조6천억 원으로 2주 전에 비해 10조 원이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요구불예금은 금리가 낮지만 적금처럼 묶여있는 돈은 아니어서 '투자 대기성 자금'으로 불리는데요. <br /> <br />단기간에 이만한 돈이 빠져나갔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 수요가 급증했다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더 적극적인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적금을 깨거나 아예 빚을 내서 투자하려는 건데요. <br /> <br />14일 기준 5대 은행의 적금 잔액은 38조1천억 원으로 2주 전에 비해 7천8백억 원이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기간 신용한도 대출, 즉 마이너스 통장 규모는 반대로 7천5백억 원 늘어난 39조6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마이너스 통장은 단기성 목적인 경우가 많아 증시나 가산자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 같은 적금과 마이너스 통장의 변화도 투자 심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확보된 자금은 미국 주식과 가상자산, 이른바 '트럼프 랠리'에 모여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 7일 국내 투자자가 보유한 미국 주식 규모는 사상 처음으로 1천억 달러 돌파했고, <br /> <br />가상자산 거래대금은 최근 하루 22조원 규모로 불어나 코스피·코스닥 거래 대금 규모를 압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처럼 과열된 시장은 작은 충격에도 크게 출렁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주 미국 연방준비제도 제롬 파월 의장이 "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"고 발언하자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던 뉴욕 증시가 일제히 하락했고 비트코인 시세도 급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나만 낙오할 수 있다는 공포에 있는 돈 없는 돈 다 쏟아부었다가는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뚜렷한 투자 기준을 세우고 대응하시는 게 좋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진혁 (chojh033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1808492440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